세금 3.3% 계산기
- 카테고리 없음
- 2022. 1. 29.
반응형
반응형
우리는 경제활동을 통해 소득이 발생하게 되면 해당 경제활동 소득에 대해 나라에 세금을 신고하고 납부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사람들마다 각자 돈을 버는 방식은 정말 다양하지만 어쨌건 경제활동을 해 소득이 생겼다면 그 누구도 예외 없이 세금을 납부하셔야 합니다. 이 세금 같은 경우에는 사람들마다 각자 돈을 버는 방법이 다양하듯이 세금을 납부하는 방법과 이율 또한 매우 다양하답니다.
납부 세금의 종류
4대보험에 가입이 돼있는 직장인들의 경우에는 다달이 받는 월 급여에서 4대보험인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이 포함되어 10% 미만의 금액을 세금으로 납부하면 되는데 4대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프리랜서나 아르바이트 같은 경우에는 발생한 소득의 3.3%를 세금으로 납부를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3.3%에서 3%는 소득세고 0.3%는 지방 소득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세금 계산
직장인들의 경우에는 본인이 직접 세금을 계산해서 납부할 필요 없이 회사에서 월 급여를 주기 전 회사에서 자체적으로 세금을 제하고 입금을 해주지만 프리랜서나 시급제로 아르바이트를 하고 계실 경우에는 사업주나 고용주가 급여를 지급하기 전 3.3% 세금을 미리 제하고 급여를 지급하게 됩니다. 하지만 그렇게 되면 프리랜서나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분들 입장에서는 나의 급여가 제대로 나온 것인지 확인도 어렵고, 나의 시급에 대한 부분도 정확하게 확인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많은 프리랜서나 시간제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분들께서 세금 3.3% 계산하는 것을 어려워하고 계십니다.
세금 3.3% 계산기
하지만 이 세금 3.3% 계산의 경우 세금 3.3% 계산기를 이용하면 복잡하지 않게, 빠르게 계산을 끝내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 다양한 세금 3.3% 계산기 사이트들이 있기 때문에 본인에게 맞는 사이트의 계산기를 이용하시면 더욱 편하실 겁니다. 이 세금 3.3% 계산기는 알바몬 사이트를 통해서 어렵지 않게 내가 실제 받을 급여에 대해 쉽게 알아낼 수 있습니다.
실 급여 계산법
세금 3.3% 계산기 방법은 프리랜서나 시급제 아르바이트를 하고 계시는 분들께 제외되는 3.3%의 세금을 제하는 것은 매우 간단합니다. 만약 예를 들어 설명을 도와드리자면 월 급여가 2,000,000원인 프리랜서 분이실 경우에는 2,000,000×0.033 의 식으로 계산을 하게 되면 66,000원이라는 결과를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나의 실급여는 1,934,000원이 되는 것입니다.
실수령액 계산법
위 식은 월 급여를 아는 상태에서 세금 금액과 실수령액 둘 다 알고 싶으실 경우 사용하시기 좋고, 세금 필요 없이 바로 월 급여만 알고 싶으실 경우에는 다른 식을 통해서 월 급여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계산방식은 월 급여×0.967을 하는 것으로 이렇게 되면 바로 실수령액이 도출되는 것입니다. 위의 급여를 통해 똑같이 예시를 들어드리자면 2,000,000×0.967 = 1,934,000 으로 실수령액을 어렵지 않게 알아낼 수 있습니다.
세금 3.3% 계산하는 방법 정말 쉽지 않나요 세금 3.3% 계산 방법을 직접 해보시게 되면 계산법이 그렇게 어렵지 않다는 것을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계산 방법이 익숙하지 않은 초반에는 사이트에 마련되어 있는 계산기로 확인을 하시는 편이 계산 실수하는 일 없이 더욱 좋을 것 같은데 오늘 소개해 드린 계산식들로 구하게 되면 사이트를 찾아 들어가서 계산하지 않고 핸드폰에 있는 계산기로도 어렵지 않게 나의 원 급여를 알아낼 수 있으니 본인에게 맞은 방법을 통해 3.3% 세금과 실급여액을 알아보세요.
반응형